맨위로가기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1996년에 출범한 싱가포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1996년 이전에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리그에 참가했으나, 1990년대 중반 싱가포르 축구 협회와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간의 갈등으로 인해 싱가포르는 자국 리그를 창설했다. 리그는 승강 시스템 없이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초청을 받은 팀들로 구성되며, 2018년 리그 명칭이 S리그에서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9개 팀이 참가하며,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DPMM FC와 같은 해외 클럽도 참여한다. 워리어스 FC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 시즌 다양한 개인 및 팀 시상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축구 리그 - 싱가포르 축구 협회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1929년 싱가포르 아마추어 축구 협회로 설립되어 196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7년부터 선거를 통해 이사회를 구성하며, 유소년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2034 FIFA 월드컵 진출을 목표하고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를 주관하는 싱가포르 축구 운영 단체이다.
  • 199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 사커 리그
    프리미어 사커 리그는 1996년 내셔널 프로페셔널 사커 리그 해산 후 내셔널 사커 리그를 기반으로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6개 클럽이 참가하여 매년 8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 진행되며 최하위 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되고, 리그 명명권 판매를 통해 스폰서 이름을 따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현재는 Betway 프리미어십으로 불린다.
  • 199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타이 리그 1
    타이 리그 1은 태국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6개 클럽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리그 우승팀에게는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기본 정보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2018 로고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2018 로고
국가싱가포르 (8개팀)
기타 참여 국가브루나이 (1개팀)
대륙 연맹AFC
창립1996년 4월 14일 (S. 리그로 창립)
주관싱가포르 축구 협회 (FAS)
참가 팀 수9
리그 등급1
국내 컵 대회싱가포르 컵
대륙 컵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2
최근 우승팀알비렉스 니가타 (S) (6회 우승)
최다 우승팀워리어스 FC (9회 우승)
최다 출장다니엘 베넷 (518회)
최다 득점알렉산다르 주리치 (385골)
방송사1 Play Sports (실시간 스트리밍)
웹사이트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2024-25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강등
강등 리그내셔널 풋볼 리그
명칭
영어Singapore Premier League
과거 명칭S.League
클럽 정보
이전 클럽 명칭싱가포르 무장Forces Football Club (SAFFC)

2. 역사

1996년 이전에는 싱가포르에서 지역 축구 대회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1921년부터 싱가포르 대표팀(별명 라이온스(Lions))은 말레이시아 컵에 참가했고, 이후 말레이시아 리그에도 참가했다. 싱가포르는 셀랑고르와 함께 약 70여 년간 말레이시아 축구를 대표하는 두 팀 중 하나였다. 라이온스팀의 홈경기와 원정경기에는 수천 명의 관중이 몰렸다.

1994년,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리그와 컵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했지만, 이것이 말레이시아 축구 대회 참가의 마지막 해가 되었다. 1995년 초,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경기에 세금을 부과하자는 제안에 대해 싱가포르 축구 협회와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세금 부과를 받아들이는 대신 말레이시아 축구 대회를 떠나 국내 프로 리그를 설립하는 데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이러한 변화를 통해 경기력 향상과 선수 및 지도자들의 성장을 기대했다.

새로운 리그 창설을 위해 특별 팀이 구성되었고, 1994년 당시 말레이시아 리그 우승팀이자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더글러스 무어(Douglas Moore)가 리그의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996년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를 모델로 하여 S리그가 출범했다. S리그는 8개 팀, 2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었다. 1997년에는 리그 운영 방식이 통년제(1시즌)로 변경되었다.

2018년부터 리그 명칭을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로 변경했다.[22]

2. 1. S리그 출범 이전 (1921~1995)

1921년부터 싱가포르는 '라이언스(Lions)'라는 별명을 가진 대표팀을 말레이시아 컵에 참가시켰다. 이후 말레이시아 리그가 생기면서 싱가포르는 셀랑고르와 함께 약 70여 년간 말레이시아 축구를 주름잡는 두 팀 가운데 하나였다.[1] 라이언스팀의 홈과 원정 경기에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1994년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리그와 컵 대회를 동시에 우승하는 더블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1995년 초,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경기에 세금을 부과하자는 요구에 대해 싱가포르 축구 협회와 논쟁이 벌어지면서, 싱가포르는 리그를 떠나 국내 프로 리그를 설립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1]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이를 통해 경기력 향상과 선수 및 지도자들의 성장을 기대했다.

이후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프로 리그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프로 리그의 구조를 갖추는 데 약 1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싱가포르 라이언스는 당시 국내 축구 최고 수준이었던 세미 프로 FAS 프리미어 리그에서 실전 경험을 쌓았다. 이 팀은 FAS 프리미어 리그 마지막 시즌에서 무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새로운 리그를 만들기 위한 특임팀이 조직되었고, 1994년 당시 말레이시아 리그 우승팀과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더글러스 무어(Douglas Moore)가 리그의 첫 번째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2. 2. S리그 시대 (1996~2017)

1995년 초,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가 말레이시아 리그와 컵 대회 경기를 싱가포르에서 치르는 데 세금을 부과하자는 요구에 대해 싱가포르 축구 협회와 논쟁이 벌어졌다.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과세를 인정하는 대신, 말레이시아 축구 대회 참가를 포기하고 국내 프로 리그 설립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18]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경기력 향상과 선수 및 지도자들의 성장을 기대했다.

새로운 리그를 만들기 위한 특별 팀이 조직되었고, 1994년 당시 말레이시아 리그 우승팀 감독이자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더글러스 무어(Douglas Moore)가 리그의 첫 번째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996년 S리그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8개 팀이 참가하여 두 개의 시리즈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 시리즈마다 여덟 팀이 홈 앤 원정 경기를 펼쳤고, 각 시리즈 상위 팀들은 시즌 শেষে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 팀을 결정했다.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전반기 시리즈를, 싱가포르 암드 포스(SAFFC)가 후반기 시리즈를 우승했다. 게일랑 유나이티드는 최종 플레이오프에서 2-1로 싱가포르 암드 포스를 꺾고 첫 번째 우승 팀이 되었다. 1994년 싱가포르의 말레이시아 리그 우승을 이끌었던 판디 아마드가 게일랑 유나이티드의 주장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다음 해 SAFFC로 이적하여 S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1997년 리그는 두 시리즈와 최종 플레이오프 방식에서 좀 더 전통적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참가팀은 12팀으로 늘었으며, 싱가포르 리그는 승격 및 강등 시스템이 없다. 참가 클럽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에 의해 선정되는데, 이전 기록과 경영 상태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2003년에는 리그에 흥미를 더하기 위해 동점 경기에 승부차기가 도입되었는데, 승부차기 승리팀에게는 승점 2점, 패배팀에게는 승점 1점을 부여했다. 이 방식은 한 시즌 만에 폐지되었다.

싱가포르의 어린 선수 재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영 라이온스라는 팀을 구성하여 2003년부터 S리그에 참가시켰다.[16] 팀 구성원은 싱가포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가 대부분이었다. 영 라이온스는 현재에도 S리그에 참가하고 있고,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직접 통제 하에 있으며 만 23세 이하 선수로만 구성되었다.

S리그 역사상 10팀의 비싱가포르 팀이 있었는데, 현재는 더 이상 리그에 참가하지 않는 7팀은 다음과 같다.

팀명연고지참가 기간비고
다롄 스더 시우 FC중국 다롄중국 슈퍼리그 다롄 하이창의 위성 클럽
신치 FC중국2003년 ~ 2005년재정적 이유로 탈퇴
스포르팅 아프리크 FC아프리카2006년경기 외적인 분쟁으로 2007년 시즌 참가 불가
랴오닝 광유안 FC중국 랴오닝2007년경기 조작 논쟁으로 2008년 시즌 참가 불가
슈퍼 레즈 FC대한민국
에투알 FC프랑스
베이징 궈안 싱가포르중국 베이징중국 슈퍼리그 베이징 궈안의 위성 클럽



브루나이 DPMM FC는 브루나이 축구협회가 FIFA로부터 받은 제재로 인해 2009년 시즌부터 참가하지 못했고, 슈퍼 레즈 FC2010년 시즌부터 참가하지 못했다. 브루나이 DPMM FC는 2012년 시즌부터 다시 리그에 복귀했다.

아래의 2팀은 아직 S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 비싱가포르 팀들은 AFC 클럽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및 AFC컵)에 참가할 수 없다. 만일 해당 팀이 리그에서 우승하면 차순위 팀에게 AFC 대회 출전권이 승계된다.

2013년 6월, S리그는 J리그와 파트너십 계약(리그 간 제휴)을 체결했다.[19]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싱가포르 축구 협회(FAS)와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가 연계하여 각국 소속 젊은 선수들로 구성된 클럽팀을 파견했다. 말레이시아 협회로부터 할리마우 무다 (영 타이거스)를 초청했고,[20] FAS는 싱가포르 라이온스 XII[16]를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에 파견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은 4명까지이지만,[21] 특별 제도로 인정된 완전 외국 자본 클럽, 모든 소속 선수가 외국인으로 구성된 클럽도 존재했다. 2004년에 가맹한 전 선수 일본인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2010년부터 2011년에 가맹한 프랑스인 선수 중심 에투알 FC 등이 그 예였다.

우승 팀에게는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하지만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나 브루나이 DPMM FC와 같은 외국 자본 클럽, 및 협회 주체 팀 영 라이온스에게는 출전권이 주어지지 않는다.

2018년부터 명칭을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로 변경했다.[22]

2. 3.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시대 (2018~)

2018년 3월 21일, 싱가포르 축구 리그는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로 명칭을 변경했다.[8] 국가대표팀 강화를 위해 자국 유소년 선수 육성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을 목표로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국내외 스타 선수들뿐만 아니라 다수의 베테랑 선수들이 해외 클럽으로 이적하게 되었다.[8]

2020 시즌에는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클럽들이 최대 4명의 외국인 선수를 영입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2019 시즌의 3명에서 증가한 것이다. 2022 시즌에는 8개 팀 모두 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4라운드 형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024–25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시즌은 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2년 일정으로 진행되는 시즌이 될 것이다.

3. 리그 구성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1996년 S리그로 출범하기 전까지, 싱가포르 축구는 말레이시아 리그와 말레이시아 컵에 참가해왔다.[16] 1994년에는 리그와 컵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했지만,[18]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와의 갈등으로 인해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국내 프로 리그 설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1996년, 8개 팀이 참가하는 S리그가 출범했다. 초기 리그는 두 개의 시리즈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각 시리즈 우승팀 간의 플레이오프로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이었다.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1997년부터 리그는 참가팀 수를 늘리고, 전통적인 리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싱가포르 리그는 승강제가 없으며, 참가 클럽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2003년에는 경기 재미를 위해 승부차기가 도입되었으나, 한 시즌 만에 폐지되었다.

2003년부터 영 라이언스가 리그에 참가하여 싱가포르의 어린 선수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 팀은 싱가포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로 구성되며,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직접 통제 하에 있다.

S리그에는 다롄 스더 시우 FC, 신치 FC, 스포르팅 아프리크 FC 등 여러 외국 팀들도 참가했지만, 재정 문제, 경기 외적 분쟁, 경기 조작 논쟁 등으로 현재는 리그에 참가하지 않는다. 현재는 브루나이 DPMM FC와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가 외국 팀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AFC 클럽 대회에는 참가할 수 없다.

2018년, 리그는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대표팀 강화를 위해 유소년 선수 육성에 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각 팀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으며, 패배 시에는 점수를 얻지 못한다. 팀 순위는 총 점수, 골 득실차, 득점 순으로 결정된다. 리그에는 승강제가 없다.

다음은 시즌별 경기 방식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경기 방식 변화
시즌클럽 수클럽당 경기 수비고
1996814 × 2 시리즈시즌 종료 시 시리즈 우승자 간의 타이틀 결정전 1경기.
1997916
19981120
1999–20001222
2001–200312332003년에는 무승부 시 승부차기를 진행. 승부차기 승리 팀은 무승부에 추가로 1점을 받음.
2004–20051027
20061130
2007–20111233DPMM의 결과는 FIFA 제재로 인해 2009년 말에 삭제, 공식적으로 11개 팀이 각각 30경기를 치름.
20121324
2013–20141227리그는 22라운드 이후 두 부분으로 나뉨. 각 부분의 팀들은 해당 부분의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고, 5경기가 추가. 2단계의 결과는 전체 순위를 위해 1단계의 결과에 합산.
20151027리그는 3라운드 형식으로 회귀.
2016–2017924
2018–2019924
2020814
2021821
2022828리그는 역사상 처음으로 4라운드 형식을 적용.
2023924리그는 3라운드 형식으로 회귀.
2024–25932리그는 4라운드 형식으로 변경.


3. 1. 참가 클럽 (2024-25 시즌)

참가 클럽 수의 변천
시즌클럽 수
19968
19979
199810
1999-200312
2004-200510
200611
2007-201112
201213
2013-201412
201510
2016-20199
2020-20228
2023-9



클럽명참가 연도홈 경기장수용 인원홈 타운비고
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2004-주롱 이스트 스타디움2,700주롱알비렉스 니가타 계열
발레스티어 칼사 FC2003-토아 파요 스타디움3,900토아 파요
브루나이 DPMM FC2009, 2012-2019, 2023-하사날 볼키아 국립 경기장28,000반다르스리브가완브루나이 국적
게일랑 인터내셔널 FC1996-베독 스타디움3,900베독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FC1996-비샨 스타디움4,100비샨구 홈 유나이티드 FC
호우강 유나이티드 FC1998-2003, 2006-호우강 스타디움2,500호우강
탐피니스 로버스 FC1996-탐피니스 스타디움4,000탐피니스
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 FC1996-2004, 2011-2014, 2020-주롱 이스트 스타디움2,700퀸스타운
영 라이언스2003-잘란 베사르 스타디움6,000칼랑싱가포르 축구 협회가 운영하는 23세 이하 선수 중심의 클럽


3. 2. 과거 참가 클럽

창단연고지경기장활동 연도
곰박 유나이티드1960부킷 곰박부킷 곰박 스타디움1998–2002
2006–2012
우드랜드 웰링턴 FC1988우드랜드우드랜드 스타디움1996–2014
셈바왕 레인저스 FC1996셈바왕이슌 스타디움1996–2003
주롱 타운1975주롱주롱 스타디움1997–2003
워리어스1979초아 추 캉초아 추 캉 스타디움1996–2019



연도연고지경기장비고
신치2003–2005타만 주롱주롱 스타디움중국 클럽
알비렉스 니가타 (S)2004–현재주롱 이스트주롱 이스트 스타디움일본 알비렉스 니가타의 위성 클럽
스포팅 아프리크2006이순이순 스타디움아프리카 거주 외국인 팀
랴오닝 광위안2007퀸스타운퀸스타운 스타디움중국 랴오닝의 위성 클럽
이순 슈퍼 레즈2007–2009이순이순 스타디움한국인 거주 외국인 팀
다롄 스더 스우2008퀸스타운퀸스타운 스타디움중국 다롄 스더의 위성 클럽
DPMM2008–현재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하사날 볼키아 국립 경기장브루나이에 연고를 둔 클럽
베이징 궈안 탈렌트2010이순이순 스타디움중국 베이징 궈안의 위성 클럽
에투알2010–2011퀸스타운퀸스타운 스타디움프랑스 거주 외국인 팀
하리마우 무다 A2012이순이순 스타디움클럽으로 활동하는 말레이시아 청소년 국가대표팀
하리마우 무다 B2013–2015– 조호르 바루
– 말라카 (2015)
– 파시르 구당 스타디움
항 제밧 스타디움


  • 클레멘티 칼사 FC (1999-2002)
  • 발레스티어 센트럴 FC (1996-2002)
  • 위의 두 클럽은 2002 시즌 종료 후 합병하여 발레스티어 칼사 FC가 됨.
  • 주롱 FC (1997-2003)
  • 센바왕 레인저스 FC (1996-2003)
  • 신치 FC (2003-2005): 중국인을 중심으로 결성된 클럽.
  • 스포르팅 아프리크 FC (2006): 아프리카인을 중심으로 결성된 클럽.
  • 다롄 스더 사우 FC (2008): 중국 슈퍼리그의 다롄 스더의 2군급과 현지 거주 중국계 선수로 구성.
  • 슈퍼 레즈 FC (2007-2009): 한국인을 중심으로 결성된 클럽.
  • 베이징 궈안 (2010): 중국 슈퍼리그에 소속된 베이징 궈안의 위성 팀.
  • 에투알 FC (2010-2011)
  • 곰박 유나이티드 FC (1996-2002, 2006-2012): 경제적 사정으로 인해 참가 포기.
  • 할리마우 무다 A (2012):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SEA 게임즈 2013) 참가를 위한 전력 강화를 목적으로 2013년에는 U-23 선수 위주의 A팀 참가를 포기하고 대신 U-19 선수 위주의 B팀을 S리그에 파견했다.[20]
  • 할리마우 무다 B (2013-2015)
  • 우드랜드 웰링턴 FC(1996-2014): 호우강 유나이티드 FC와의 합병으로 소멸
  • 워리어스 FC(1996-2019)

3. 3. 경기 방식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1996년 S리그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독특한 경기 방식을 발전시켜왔다. 초기에는 8개 팀이 두 시리즈로 나누어 경기를 치르고, 각 시리즈 우승팀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1996년 첫 시즌에는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싱가포르 암드 포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부터는 참가팀 수가 늘어나고, 좀 더 전통적인 리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싱가포르 리그는 승강제가 없으며, 참가 클럽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2003년에는 경기 재미를 위해 승부차기가 도입되었으나, 한 시즌 만에 폐지되었다.

2003년부터는 영 라이온스라는 팀이 리그에 참가하여 싱가포르의 어린 선수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 팀은 싱가포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로 구성되며,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직접 통제 하에 있다.

S리그에는 여러 외국 팀들도 참가했는데, 다롄 스더 시우 FC, 신치 FC, 스포르팅 아프리크 FC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팀은 재정 문제, 경기 외적 분쟁, 경기 조작 논쟁 등으로 인해 현재는 리그에 참가하지 않는다. 현재는 브루나이 DPMM FC와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가 외국 팀으로 참가하고 있다. 이들은 AFC 클럽 대회에는 참가할 수 없으며, 리그 우승 시 차순위 팀에게 출전권이 승계된다.

2018년 리그는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대표팀 강화를 위해 유소년 선수 육성에 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2020년 시즌에는 외국인 선수 영입 규정이 완화되었고, 2022년 시즌에는 8개 팀이 4라운드 형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변화가 있었다. 2024–25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시즌은 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2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각 팀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으며, 패배 시에는 점수를 얻지 못한다. 팀 순위는 총 점수, 골 득실차, 득점 순으로 결정된다. 리그에는 승강제가 없다.

다음은 시즌별 경기 방식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시즌클럽 수클럽당 경기 수비고
1996814 × 2 시리즈시즌 종료 시 시리즈 우승자 간의 타이틀 결정전 1경기.
1997916
19981120
1999–20001222
2001–200312332003년에는 무승부 시 승부차기를 진행. 승부차기 승리 팀은 무승부에 추가로 1점을 받음.
2004–20051027
20061130
2007–20111233DPMM의 결과는 FIFA 제재로 인해 2009년 말에 삭제, 공식적으로 11개 팀이 각각 30경기를 치름.
20121324
2013–20141227리그는 22라운드 이후 두 부분으로 나뉨. 각 부분의 팀들은 해당 부분의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고, 5경기가 추가. 2단계의 결과는 전체 순위를 위해 1단계의 결과에 합산.
20151027리그는 3라운드 형식으로 회귀.
2016–2017924
2018–2019924
2020814
2021821
2022828리그는 역사상 처음으로 4라운드 형식을 적용.
2023924리그는 3라운드 형식으로 회귀.
2024–25932리그는 4라운드 형식으로 변경.


4. 역대 우승 클럽 및 수상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1996년 출범 이후, 리그 우승 클럽에게 주어지는 우승컵과 함께, 매 시즌 다양한 부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와 감독에게 상을 수여한다. 리그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며, 싱가포르컵 우승팀은 AFC컵 플레이오프 출전 자격을 얻는다. 만약 동일한 클럽이 S.리그와 싱가포르컵을 모두 우승할 경우, 리그 준우승팀이 AFC컵 출전 자격을 얻는다. 외국인 클럽은 AFC 대륙 클럽 대항전에 싱가포르 축구 협회를 대표하여 출전할 수 없다. 외국인 클럽이 두 대회 중 하나에서 우승할 경우, 그 자격은 리그에서 다음으로 순위가 높은 현지 클럽에게 주어진다.[9]
주요 시상 부문


  • '''올해의 선수'''
  • '''올해의 영플레이어'''
  • '''올해의 감독'''
  • '''올해의 팀'''
  • '''올해의 골'''
  • '''최다 득점자'''
  • '''골든 글러브'''
  • '''페어 플레이상'''
  • '''올해의 선수상'''
  • '''돌라 카심 상'''

4. 1. 역대 우승 클럽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의 역대 우승 클럽과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
워리어스941997, 1998, 2000, 2002, 2006, 2007, 2008, 2009, 2014
알비렉스 니가타 (S)612016, 2017, 2018, 2020, 2022, 2023
템피니스 로버스582004, 2005, 2011, 2012, 2013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381999, 2003, 2021
DPMM222015, 2019
게일랑 인터내셔널211996, 2001
에투알102010
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03
슈퍼 레즈01



style="background:#dfefff; width=10px; text-align:center" |초청 클럽


  • 워리어스 FC(구 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가 9번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2010년, 에투알은 이 대회에서 우승한 최초의 외국 팀이 되었다.[9]
  • 1996년 S리그 첫 시즌은 두 개의 시리즈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시리즈 우승팀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을 꺾고 첫 S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시즌우승팀준우승팀
1996*게일랑 유나이티드 |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1997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티옹 바루 유나이티드
1998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2)|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
1999홈 유나이티드|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2000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3) |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
2001게일랑 유나이티드 (2)|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2002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4)|홈 유나이티드
2003홈 유나이티드 (2)|게일랑 유나이티드
2004탐피니스 로버스|홈 유나이티드
2005탐피니스 로버스 (2)|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2006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5)|탐피니스 로버스
2007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6)|홈 유나이티드
2008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7)| 슈퍼 레즈
2009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 (8)|탐피니스 로버스
2010에투알| 탐피니스 로버스
2011탐피니스 로버스 (3)|홈 유나이티드
2012탐피니스 로버스 (4)| DPMM
2013탐피니스 로버스 (5)|홈 유나이티드
2014워리어스 (9)| DPMM
2015DPMM |탐피니스 로버스
2016알비렉스 니가타 (S)| 탐피니스 로버스
2017알비렉스 니가타 (S) (2)| 탐피니스 로버스
2018알비렉스 니가타 (S) (3)[10]|홈 유나이티드
2019DPMM (2)| 탐피니스 로버스
2020알비렉스 니가타 (S)[11] (4)| 탐피니스 로버스
2021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알비렉스 니가타 (S)
2022알비렉스 니가타 (S) (5)|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2023알비렉스 니가타 (S) (6)|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style="background:#dfefff; width=10px; text-align:center" |초청 클럽


4.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
워리어스941997, 1998, 2000, 2002, 2006, 2007, 2008, 2009, 2014
알비렉스 니가타 (S)612016, 2017, 2018, 2020, 2022, 2023
템피니스 로버스582004, 2005, 2011, 2012, 2013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381999, 2003, 2021
DPMM222015, 2019
게일랑 인터내셔널211996, 2001
에투알102010
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03
슈퍼 레즈01



style="background:#dfefff; width=10px; text-align:center" |초청 클럽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출범 이후 7개 클럽이 우승을 차지했다. 워리어스 FC(구 싱가포르 무장 군사 클럽)가 9번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에투알이 이 대회에서 우승한 최초의 외국 팀이 되었다.[9]

4. 3. 역대 주요 시상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매 시즌 다양한 부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와 감독에게 상을 수여한다. 주요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 '''올해의 선수'''
  • '''올해의 영플레이어'''
  • '''올해의 감독'''
  • '''올해의 팀'''
  • '''올해의 골'''
  • '''최다 득점자'''
  • '''골든 글러브'''
  • '''페어 플레이상'''
  • '''올해의 선수상'''
  • '''돌라 카심 상'''


다음은 역대 주요 부문별 수상자 목록이다.
역대 최다 득점자

시즌선수소속득점
1996유레 엘레스|Jure ElershrSAFFC29
1997고란 파울리치|Goran Paulićhr발레스티에 칼사 FC21[23]
1998스튜어트 영|Stuart Young영어홈 유나이티드15[23]
1999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SAFFC23
2000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SAFFC19
2001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SAFFC42
2002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SAFFC36
2003페레스 데 올리베이라|Peres de Oliveirapt홈 유나이티드37
2004에그마르 곤잘베스|Egmar Goncalvespt홈 유나이티드30
2005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탐피니스 로버스 FC26
2006라카드 아브델하디|Laakkad Abdelhadiar우드랜드 웰링턴 FC15
2007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37
2008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28
2009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28
2010프레데릭 멘디|Frédéric Mendy프랑스어에트왈 FC21
2011미슬라브 카로그란|Mislav KaroglanbsSAFFC33
2012프레데릭 멘디|Frédéric Mendy프랑스어홈 유나이티드20
2013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
문순호|文純好한국어
탐피니스 로버스 FC
우드랜드 웰링턴 FC
15
2014로드리고 안토니오 롬바르도 토시|Rodrigo Antonio Lombardo Tosipt[24]브루나이 DPMM FC24
2015하파엘 하마조치 데 쿠아드로스|Rafael Ramazotti de Quadrospt브루나이 DPMM FC21
2016하파엘 하마조치 데 쿠아드로스|Rafael Ramazotti de Quadrospt브루나이 DPMM FC20
2017사노 츠바사|佐野 翼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26
2018호시노 슈헤이|星野 秀平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19
2019안드레이 바라노우|Andrey Varankowbe[25]브루나이 DPMM FC21
2020스티페 프라지바트|Stipe Plazibathr호우강 유나이티드 FC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FC
14
2021도이 토모유키|土井 智之일본어호우강 유나이티드 FC19


역대 올해의 선수

시즌선수소속
1996이비차 라구즈|Ivica RagužhrSAFFC
1997나즈리 나실발레스티어 센트럴 FC
1998슌무감 수브라마니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 FC
1999뷔치 졸트|Bücs Zsolthu홈 유나이티드
2000미르코 그라보바츠|Mirko GrabovachrSAFFC
2001다니엘 베넷|Daniel Bennett영어탄종 파가르 유나이티드 FC
2002타삭 차이만|Tawan SripanthSAFFC
2003페레스 데 올리베이라|Peres de Oliveirapt홈 유나이티드
2004수라차이 자투라팟타라폰|Surachai Jaturapattarapongth홈 유나이티드
2005노 아람 샤탐피네스 로버스 FC
2006라카드 아브델하디|Laakkad Abdelhadiar우드랜드 웰링턴 FC
2007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
2008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
2009발레리 하이에크|Valéry Hiek프랑스어홈 유나이티드
2010샤릴 이샤크홈 유나이티드
2011미슬라브 칼로그란|Mislav KaroglanbsSAFFC
2012알렉산더 두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탐피네스 로버스 FC
2013이관우홈 유나이티드
2014하산 사니[24]워리어스 FC
2015코구레 이쿠야|小暮 郁哉일본어[26]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6카와타 아츠히데|河田 篤秀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7나가사키 켄토|長崎 健人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8무로후시 코우|室伏 航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9파리스 람리[25]호우강 유나이티드 FC
2020가브리엘 꽥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FC
2021도이 토모유키|土井 智之일본어호우강 유나이티드 FC


역대 올해의 영플레이어

시즌선수소속
1996로빈 치트라카르게일랑 유나이티드 FC
1997아마도 라티프 카마르딘게일랑 유나이티드 FC
1998림 송센탄종 파가 유나이티드 FC
1999야지드 야신홈 유나이티드
2000인드라 사단 다우드게일랑 유나이티드 FC
2001인드라 사단 다우드홈 유나이티드
2002노 아람 샤셈바왕 레인저스 FC
2003바이하키 카이잔게일랑 유나이티드 FC
2004파흐루딘 무스타피크|Fahrudin Mustafićsr탐피니스 로버스 FC
2005나카지마 파란 잇세이|中島ファラン一生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2006루도비크 타캄|Ludovic Takam프랑스어발레스티어 칼사 FC
2007샤리프 압둘 사맛탐피니스 로버스 FC
2008카이룰 암리탐피니스 로버스 FC
2009오지미 가브리엘 오바트라|Ojima Gabriel Obatola영어곰박 유나이티드 FC
2010하리스 하룬영 라이언스
2011이누이 타츠로|乾 達朗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2012완자크 하이칼 빈 완노르|Wanzak Haikal bin Wan Noorms할리마우 무다 A
2013실리나 카마라|Sirina Camara프랑스어홈 유나이티드
2014니콜라스 베레스|Nicolás Vélezes[24]워리어스 FC
2015무하마드 아즈완 알리 라만|Muhammad Azwan Ali Rahmanms브루나이 DPMM FC
2016아누만산 쿠마르호우강 유나이티드 FC
2017하즈완 할림발레스티어 칼사 FC
2018아담 스완디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2019하미 샤힌[25]홈 유나이티드
2020사일풀라흐 악바르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FC


역대 올해의 감독

시즌감독소속
1996빈센트 수브라마니암SAFFC
1997빈센트 수브라마니암SAFFC
1998지타 싱센바왕 레인저스 FC
1999로베르토 알베르츠|Roberto Albertsnl홈 유나이티드
2000판디 아마드SAFFC
2001장정|張晶한국어게일랑 유나이티드 FC
2002카라츠 말타이아르|K.Muthaiyams우드랜드 웰링턴 FC
2003스코트 오도넬|Scott O'Donell영어게일랑 유나이티드 FC
2004보라반 칫타와닛|Vorawan Chitavanichth탐피니스 로버스 FC
2005보라반 칫타와닛|Vorawan Chitavanichth탐피니스 로버스 FC
2006리처드 복SAFFC
2007리처드 복SAFFC
2008히라오카 히로아키|平岡 宏章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09리처드 복SAFFC
2010보라반 칫타와닛|Vorawan Chitavanichth탐피니스 로버스 FC
2011스기야마 코이치|杉山 弘一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2비에란 심니치|Vjeran Simunićhr브루나이 DPMM FC
2013이림생홈 유나이티드
2014마르코 클라리에비치|Marko Kraljevićhr[24]발레스티어 칼사 FC
2015스티브 킨|Steve Kean영어브루나이 DPMM FC
2016나루오 나오키|鳴尾 直軌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7요시나가 카즈아키|吉永 一明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8요시나가 카즈아키|吉永 一明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9에이드리언 펜노크|Adrian Pennock영어[25]브루나이 DPMM FC
2020시게토미 케이지|重富 景織일본어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역대 올해의 골

시즌선수소속
2002세아드 무라토비치|Sead Muratovićsr탐피니스 로버스 FC
2003인드라 사단 다우드홈 유나이티드
2004아구 카스미르영 라이언스
2005줄카르나인 자이날탐피니스 로버스 FC
2006카이룰 암리영 라이언스
2007알렉산더 듀리치|Aleksandar Đurić영어SAFFC
2008루도비크 타캄|Ludovic Takam프랑스어홈 유나이티드
2009오지미 가브리엘 오브라타|Ojima Gabriel Obagola영어곰박 유나이티드 FC
2010샤릴 잔탄SAFFC
2011사프완 바하루딘영 라이언스
2012완자크 하이칼 빈 완노르|Wanzak Haikal bin Wan Noorms할리마우 무다 A
2013마마두 디알로|Mamadou Diallo프랑스어호우강 유나이티드 FC


역대 페어 플레이상

시즌클럽
1996SAFFC
1997SAFFC
1998SAFFC
1999게일랑 유나이티드 FC
2000센바왕 레인저스 FC
2001SAFFC
2002SAFFC
2003영 라이언스
2004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05영 라이언스
2006영 라이언스
2007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08슈퍼 레즈 FC
2009홈 유나이티드
2010템피니스 로버스 FC
2011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2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3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4게일랑 인터내셔널 FC[24]
2015게일랑 인터내셔널 FC
2016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7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8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2019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25]
2020알비렉스 니가타 FC 싱가포르


5. 대한민국 선수

대한민국 선수
선수클럽연도비고
김신욱라이언 시티 세일러스20222014년201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선수였다. 2011년2015년 AFC 아시안컵에도 참가했다.
이충성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2022–20232011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일본의 네 번째 우승을 이끌었다. 사우샘프턴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우라와 레즈와 함께 2017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


6. 기타

1996년 이전 싱가포르에서 지역 축구 대회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1921년부터 싱가포르는 '라이온스(Lions)'라는 별명으로 말레이시아 컵에 대표팀을 참가시켰고, 이후 말레이시아 리그에도 참가했다. 싱가포르는 셀랑고르와 함께 약 70여 년간 말레이시아 축구를 주름잡는 강팀이었다.

1994년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리그와 컵 대회를 동시에 우승했지만, 이것이 말레이시아 축구 대회 참가의 마지막 해였다. 1995년 초,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가 싱가포르 경기에 세금을 부과하려는 움직임에 반발하여 싱가포르 축구 협회는 말레이시아 리그를 떠나 자체 프로 리그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리그 창설을 위해 특별팀이 조직되었고, 1994년 말레이시아 리그 우승을 이끈 더글러스 무어(Douglas Moore) 감독이 리그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S리그는 1996년 8개 팀이 참가하는 두 개 시리즈로 시작되었다. 각 시리즈 우승팀은 시즌 말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결정했다.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첫 번째 시리즈를, 싱가포르 암드 포스(SAFFC)가 두 번째 시리즈를 우승했고, 게일랑 유나이티드가 최종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판디 아마드는 게일랑 유나이티드의 주장이자, 다음 해 SAFFC의 우승을 이끈 선수였다.

1997년부터 리그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참가팀은 12팀으로 늘었다. 싱가포르 리그는 승강제가 없으며, 참가 클럽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에 의해 선정된다. 2003년에는 경기 흥미를 위해 승부차기가 도입되었으나 한 시즌 만에 폐지되었다.

영 라이온스는 싱가포르의 어린 선수 육성을 위해 2003년부터 S리그에 참가하는 팀으로, 싱가포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로 구성된다. 이 팀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직접 통제 하에 있다.

S리그에는 과거 10개의 비싱가포르 팀이 참가했었다.



신치 FC는 재정 문제로, 스포르팅 아프리크는 경기 외적 분쟁으로, 랴오닝 광유안은 경기 조작 논쟁으로 리그에서 탈퇴했다. 브루나이 DPMM FC는 FIFA 제재로, 슈퍼 레즈 FC는 2010년부터 참가하지 못했다. 브루나이 DPMM은 2012년에 리그에 복귀했다.

현재 S리그에서 활동하는 비싱가포르 팀은 다음과 같다.

이들 비싱가포르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나 AFC컵과 같은 AFC 클럽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리그 우승 시 차순위 팀에게 출전권이 승계된다.

싱가포르 축구 협회(FAS)는 과거 대표팀을 말레이시아 대회에 참가시켰다.[16] 싱가포르 FA는 1921년 말레이시아컵 초대 우승팀이자 통산 24회 우승의 강호였다.[17] 리그전 발족 후에도 참가하여 1994년 더블을 달성했지만,[18] 승부 조작 의혹으로 말레이시아 리그를 탈퇴했다.

1988년-1995년에는 싱가포르 국내 클럽팀 대상 "싱가포르 국내 축구 리그((英語版 해당 기사))"가 열렸고, 1993년까지 게일랑 인터내셔널이 6연패를 달성했다. 1995년에는 말레이 리그에서 추방된 싱가포르 FA도 참가하여 우승했지만, 이 해를 끝으로 리그 참가를 중단했다. 1996년 싱가포르 축구 협회가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를 모델로 S리그를 개막했고, 1997년 통년제(1시즌)로 전환했다. 2013년 6월 J리그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9]

이후 최대 12팀까지 증가했지만, 경영난으로 일부 팀이 해산했다. 2003년부터 대표팀 강화책으로 영 라이온스[16]를 참가시켰다. 2012년-2015년 FAS와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연계로 젊은 선수 클럽팀을 파견했다. 말레이시아 협회로부터 할리마우 무다 (영 타이거스)를 초청[20]하고, FAS는 싱가포르 라이온스 XII[16]를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에 파견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은 4명까지이지만,[21] 특례로 인정된 완전 외국 자본 클럽은 모든 선수가 외국인으로 구성될 수 있었다. 2004년 가맹한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2010년-2011년 가맹한 에투알 FC 등이 그 예였다.

우승 팀에게는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주어지지만, 외국 자본 클럽이나 협회 주체 팀인 영 라이온스에게는 출전권이 없다.

2018년부터 명칭을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로 변경했다.[22]

6. 1. 후원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창립 시즌에는 스폰서가 없었으나, 2009년부터 2018년까지 Great Eastern이 후원했고, 그 기간 동안 Yeo's와 현대가 공동 후원사가 되어 '''Great Eastern'''-'''Yeo's S.League''' 및 '''Great Eastern-Hyundai S.League'''로 알려졌다. 2019년에는 홍콩에 본사를 둔 다국적 보험 및 금융 기업인 AIA가 리그의 메인 스폰서가 되었다.[1]

2018 시즌을 위해 리그는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1]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스폰서
기간스폰서브랜드
1996–2008없음S.리그
2009–2016Great Eastern-Yeo'sGreat Eastern-Yeo's S.League
2017–2018Great Eastern-현대Great Eastern-Hyundai S.League
Great Eastern-Hyundai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2019–현재AIAAIA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6. 2. 특이사항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승강제 없음: 승격 및 강등 시스템이 없다. 참가 클럽은 이전 기록과 경영 상태를 바탕으로 싱가포르 축구 협회에 의해 선정된다.[19]
  • 외국 클럽 참가: S리그 역사상 10개의 비싱가포르 팀이 참가했다. 이들은 중국, 대한민국, 프랑스, 브루나이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 (일본)와 브루나이 DPMM FC (브루나이)가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19]
  • AFC 클럽 대항전 출전 제한: 비싱가포르 팀은 AFC 클럽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및 AFC컵)에 참가할 수 없다. 리그 우승팀이 외국 클럽일 경우, 차순위 싱가포르 클럽에 출전권이 승계된다.[19]
  • 영 라이온스: 싱가포르의 어린 선수 육성을 위해 영 라이온스라는 팀이 2003년부터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이 팀은 싱가포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로 구성되며, 싱가포르 축구 협회의 직접 통제 하에 있다.[16]
  • 말레이시아 리그와의 관계: 1994년까지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컵과 말레이시아 리그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5년 싱가포르 축구 협회와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간의 분쟁으로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리그를 탈퇴하고 자체 프로 리그를 설립했다.[18]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양국 축구 협회가 연계하여 젊은 선수들로 구성된 클럽팀을 상호 파견하기도 했다.[20]
  • J리그와의 관계: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를 모델로 리그를 운영하며, 2013년 6월에는 파트너십 계약(리그 간 제휴)을 체결했다.[19]
  • 외국인 선수: 일반적으로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은 4명까지이지만, 특례 제도로 인정된 완전한 외국 자본 클럽은 모든 소속 선수가 외국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21]
  • 명칭 변경: 2018년부터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로 명칭을 변경했다.[22]

참조

[1] 뉴스 Malaysian states want 15 per cent levy to play at Kallang 1995-01-17
[2] 뉴스 Geylang wins S-League's Championship match 1996-11-10
[3] 웹사이트 Singapore's LionsXII booted out of Malaysia football http://www.todayonli[...] TodayOnline 2015-11-25
[4] 뉴스 Only 10 teams in S.League next year http://news.asiaone.[...] 2014-11-04
[5] 뉴스 Changes will make S-League 'stronger, more competitive' http://www.todayonli[...] 2014-11-06
[6] 뉴스 Uncertainty over S-League's changes for 2015 http://www.todayonli[...] 2014-11-05
[7] 뉴스 Players ambivalent about S-League U-turn http://www.todayonli[...] 2014-11-24
[8] 웹사이트 Football: Goodbye S-League, welcome Singapore Premier League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 2018-03-21
[9] 웹사이트 S.League overview http://www.sleague.c[...]
[10] 웹사이트 Albirex wrap up Singapore Premier League title with three months to go - Channel NewsAsia https://www.channeln[...] 2018-07-23
[11] 웹사이트 Albirex Niigata FC (S) are 2020 AIA Singapore Premier League champions - Football Association of Singapore http://www.fas.org.s[...]
[12] 웹사이트 S.League.com – Amri Takes on Big Brother Role at Young Lions http://www.sleague.c[...]
[13] 웹사이트 100 Goals Award: Mohd Noor Ali – The ever smiling joker of the pack http://dreamteamstea[...]
[14] 웹사이트 Awards night signals end of 2014 S.League season http://www.sleague.c[...] S.League 2014-11-07
[15] 문서 1999 FIFA Confederations Cup squads https://en.wikipedia[...] 2024-06-28
[16] 문서 ただし、マレーシアの国内リーグでは[[サッカーシンガポール代表|ナショナルチーム]]としてではなく、FAS運営のクラブチームとみなして「シンガポールFA」を出場させており、必ずしもナショナルチームと一致するものではなかった。同様に[[2003年]]に加盟したヤング・ライオンズ、および[[2012年]]にマレーリーグに加盟したライオンズXIIもFAS運営のクラブチームとみなして参加しており、必ずしもシンガポールの年代別ナショナルチームとは一致しない
[17] 문서 http://www.rsssf.com[...]
[18] 문서 http://www.rsssf.com[...]
[19] 문서 Jリーグ、シンガポールリーグと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を締結 http://www.soccer-ki[...]
[20] 문서 【Sリーグクラブ紹介】Part.11/ハリマウ・ムダB http://www.plus-blog[...]
[21] 문서 https://allabout.co.[...]
[22] 웹사이트 アルビ新潟Sが新戦力の活躍でコミュニティーシールド3連覇達成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8-04-01
[23] 뉴스 Golden Boot 2005-08-29
[24] 웹사이트 Awards night signals end of 2014 S.League season http://www.sleague.c[...] S.League 2014-11-07
[25] 간행물 SPL - 2019 Review http://s3-ap-southea[...]
[26] 웹사이트 アルビ新潟Sの木暮郁哉がSリーグ最優秀選手に…日本人初の受賞 http://headlines.yah[...] 2015-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